이사갈때 공과금 정산 순서(전세부동산 인계하기)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이사갈때 공과금정산을 하는것은 중요합니다. 저도 다세대주택 빌라 전세를 강제경매로 낙찰받고 전출을 하게되면서 공과금을 정리해야될 필요가 생겼습니다.
보통 공과금정산을 한다고하면, 수도, 전기, 도시가스 세가지를 정산합니다.
오늘은 제가 낙찰받은 빌라를 어떻게 공과금 정산했는지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홀로소송 68편 바로가기 – 전세대출 계약금 반환 특약 후기 및 정리
📌나홀로소송 69편 바로가기 – 전출신고 및 전입신고, 전세계약 전에 언제 해야 될까

나홀로소송 70편 – 이사갈때 공과금 정산 순서(전세부동산 인계하기)

공과금정산을 하기 위해서는 살고있는 집의 계량기들을 확인하여야 합니다.
그 곳들에 있는 수치만 읽는다면 얼마를 내야하는지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확인도 간단하고 신고도 간단하지만 많은사람들이 힘들어 하는 이유는 자주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러한 공과금 정산을 언제 하는것인지 헷가릴 수 있습니다.
물론 정해진 것은 없지만, 보통 전세부동산을 인계하는 전 날까지의 금액을 정산합니다.
저도 계약서의 잔금날짜 전날까지 정산을 하였습니다.

계약과 공과금정산, 부동산 인계의 순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공과금 정산 언제할까?

  1. 잔금완납
  2. 전출신고
  3. 공과금정산(가스, 전기, 수도)
  4. 확인후 부동산인계

저는 위와 같은 네단계로 진행했는데, 사실 어느것을 먼저하든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
1, 2, 3 순서는 바뀌어도 계약상에 무리는 없을 듯합니다.
사실 공과금 정산의 경우 부동산 계약이 중도파기 되어도 계속해서 납부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도시가스 공과금 요금 정산하기

다세대주택 도시가스 계량기의 경우 보통 바깥에 달려있습니다.
건물 주변을 한바퀴 돌다보면 찾으실 수 있습니다. 제가 살던 빌라의 경우 보일러가 있는 벽면쪽에 도시가스 계량기가 붙어있었습니다.

앞에 있는 4자리 숫자만 불러주시면 됩니다. 아래의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본인계량기의 넘버를 확인하시고, 전화를 걸거나 어플상에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본인 계량기 넘버는 고객센터에 전화하셔서 파악하시거나 지로용지, 카카오톡 영수증을 확인하시면 알 수 있습니다. 본인인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사갈때-공과금정산-도시가스

저의 경우 예스코 도시가스였기 때문에, 고객센터 1544-3131로 전화해 상담사에게 요금정산과 이사를 간다는 내용을 전하였습니다. 도시가스의 경우는 이사를 간다는 내용을 말씀하셔야 합니다.

만약, 가스렌지 해체나 도시가스 중지를 원하시면 해당 내용도 전해야 합니다.
예스코 홈페이지나 가스앱이라는 어플을 통해서도 해지예상금액 확인이 가능합니다.

전기요금 공과금 정산하기

다음으로 전기요금을 정산하는 방법입니다. 전기계량기도 빌라건물을 한바퀴 돌다보면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의 계량기 제조번호를 확인하는 방법은 한전온에 들어가셔서 본인인증을 거치시거나, 평소 받으시던 지로용지 또는 카카오톡 영수증을 살펴보시면 됩니다.

앞의 네자리를 한전온 어플에 입력하면 해당일자까지의 금액이 나오게 되며, tv수신료까지 한번에 결제하시면 됩니다. 전기요금의 경우 따로 이사를 간다고 알린 것은 없습니다.

이사갈때-공과금정산-전기요금

수도요금 공과금 정산하기

수도요금은 본인이 거주하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정산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를것같습니다.
우선, 수도계량기는 본인 현관문 앞에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계량기를 찾으셨다면 세자리의 숫자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제가 살았던곳의 경우 지자체 상하수도과에 전화를걸어 요금을 확인하고, 다음에 들어올 세입자에게 현금으로 주어 현금청산을 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었습니다.

다만, 서울이나 기타 지역의 경우 위택스와 같이 미리 정산이 가능한 지역이 있을 수 있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혹시라도 모르겠다면 저처럼 상하수도과에 전화를걸어 수도사용량과 금액을 확인하여 현금청산하시기 바랍니다.

수도요금의 경우도 따로 이사를 간다고 알린것은 없습니다. 오히려 상하수도과에 말씀드리니 현금을 드리고 그냥 이사가시면 다음사람이 내는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이사갈때-공과금정산-수도요금

맺음말

오늘은 이사갈 때 공과금을 정산하는 방법 3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도 빌라 전세로 살다가 공과금을 정산해본것은 처음입니다. 관리비의 경우는 빌라에서 따로 정산할 것이 없었기 때문에 정산하지 않았습니다.

막상 전기요금, 수도요금, 도시가스요금 정산을해보니 그렇게 복잡하지 않았습니다.
다른분들도 전세계약을 한다면 참고하셔서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